창(窓)/게시판

탈북 국민의 분투, 격려하고 지원해야

namsarang 2011. 4. 6. 23:27

[동아일보 사설]

2011년 4월 6일 수요일

탈북 국민의 분투, 격려하고 지원해야

 

탈북자들이 북한의 민주화와 남북 평화통일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을 보면 일상 속에 파묻혀 사는 우리 자신이 부끄럽게 느껴진다. 북한민주화위원회를 비롯한 27개 탈북자단체는 그제 국회의사당 앞에서 북한인권법 통과를 촉구하는 무기한 단식투쟁을 시작했다. 이들은 “2400만 북한 주민을 대신해 북한인권법 국회통과를 관철하기 위한 투쟁에 나섰다”고 밝혔다. 북한인권법안은 지난해 2월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를 통과한 뒤 1년이 넘도록 법제사법위원회에 방치돼 있다. 미국과 일본에서도 오래전에 제정한 북한인권법을 우리 국회가 외면하고 있는 것은 한심한 일이다.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반(反)독재 민주화 열풍을 계기로 북한에 재스민 혁명의 불을 지피려는 탈북자들의 분투는 눈물겹다. 대북(對北)풍선단장 이민복 씨와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박상학 씨는 북한의 보복위협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북한에 전단을 날려 보낸다. 이들은 경기 파주시와 강원 철원군 등의 일부 주민과 좌파 단체의 반발 때문에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북한에 김정일 독재체제의 실상을 깨우쳐 주겠다는 일념으로 몸을 사리지 않는다. 대북민간방송을 주도하는 사람들도 탈북자들이다. 북한 주민의 알 권리를 위해 투쟁하는 전사(戰士)들이다.

국내에 정착한 탈북자는 지난해 말 2만 명을 넘어섰다. 목숨을 걸고 ‘생지옥’을 탈출한 이들을 대한민국 국민으로 따뜻하게 포용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다. 탈북자를 통해 우리는 북한의 실상을 상세히 알게 됐다. 다양한 지역과 계층 출신인 탈북자들이 내놓는 조언은 대북 정책을 펴는 데 소중한 자료가 된다.

대다수 탈북자의 남한 생활은 고달프다. 탈북자들의 고용률은 41.9%로 남한의 전체 평균 59.3%에 훨씬 못 미친다. 지난해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탈북자들에게 친근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57.5%에 이르렀다. 탈북자들은 경제적으로 힘들고 사회적으로도 냉대를 받지만 자유와 민주의 소중함을 알기 때문에 북한을 변화시키기 위한 싸움에 기꺼이 나서고 있다. 그들도 자유 대한민국이 제공하는 행복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다.

탈북자는 한반도를 통일로 이끄는 향도라고 할 수 있다. 북한군 출신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은 “정부가 탈북자들을 통일 일꾼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북한의 민주화와 남북통일을 진정으로 바란다면 탈북자들을 격려하고 적극 지원해야 한다. 남한 국민과 탈북 국민이 소통하고 화합하는 작은 통일이 이뤄져야 남북통일이라는 대업(大業)도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