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광장/백희영]
소금 덜 먹으면 건강하게 오래 산다
기사입력 2012-04-20 03:00:00
식생활은 순전히 개개인의 사적인 일인 듯하지만, 국민적 차원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20세기 중반 미국인들의 사망 원인 1위였던 심장병이 과다한 지방, 특히 포화지방 섭취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한 전 국민적 노력이 시작됐다. 이 노력을 통해 1965년 이후 미국인들이 섭취하는 열량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25% 이상 감소했다. 같은 시기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률도 절반 이하로 줄었다.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나트륨(Na)의 과잉 섭취다. 얼마 전부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나트륨 줄이기’ 운동을 시작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한국인들의 나트륨 섭취량(1일 약 4800mg)은 세계보건기구(WHO)와 한국영양학회가 제시하는 섭취목표량(2000mg)의 2배를 훨씬 넘는다. 구미(歐美)에 비해서는 1400mg 정도나 많으며, 우리처럼 장류 음식을 많이 먹는 일본에 비해서도 약 600mg이나 더 많다. 지난 2년 동안에도 7%나 증가해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김치와 장류 소금 함량 낮춰야
나트륨 과잉 섭취는 고혈압, 암, 신장병, 골다공증, 비만 등 만성질병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32%가 고혈압이 있으며, 나트륨 과잉 섭취로 인한 진료비가 연 5조 원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수명은 선진국과 비슷하지만, ‘건강 수명’은 2, 3년 정도 짧다. 100세 시대를 바라보는 현 시점에서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는 것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나 국가경제적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다.
한국인들의 나트륨 과잉 섭취는 음식에 소금(NaCl)을 너무 많이 넣기 때문이다. 실제로 짠맛을 내는 것은 염소(Cl)지만, 소금에 나트륨이 함께 들어 있어 과잉 섭취로 이어지는 것이다. 인류가 단맛을 좋아하는 것은 선천적이나 짠맛에 대한 선호는 후천적이다. 짠맛이 전혀 없는 모유를 아기들이 가장 좋아한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기들이 이유식에서 시작하여 점차 어른과 더불어 식생활을 해나가면서 짠 음식에 익숙해지고, 짠맛을 선호하게 된다. 한국인들의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려면 크게 두 가지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전통 음식문화와 관련해 개선할 점이다. 한국인들의 짠 음식 과잉 섭취는 국, 찌개 등 국물 음식과 김치나 장류처럼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이다. 한국인은 배추김치에서 총 나트륨 섭취량의 약 20%를 섭취한다. 김치는 장점이 많은 음식이지만 나트륨 함량을 낮추지 않는 한 세계인들이 애호하는 건강식으로 자리매김하기 어렵다. 우리의 전통적인 식생활 문화를 보존하면서도 냉장고가 없던 시대에 형성된 소금 과용 습관은 줄일 수 있는 ‘저나트륨 제품’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대체 소금’을 개발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소금에서 나트륨의 일부를 칼륨(K), 마그네슘(Mg) 등 다른 무기질로 대체하는 것이다. 나트륨의 약 절반을 칼륨 등으로 대체해도 음식 맛에는 큰 영향이 없다. 다만 대체소금을 사용해도 김치나 장류의 발효가 제대로 될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외식이나 급식에서 개선할 점이다. 직장인들의 회식은 말할 나위가 없거니와 학교와 직장 급식의 확대 등으로 한국인들의 식생활에서 외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개인 수준의 노력으로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 상태다. 결국 정부가 급식, 외식 공급자들에게 음식에 포함된 나트륨 함량을 줄이도록 권장하고, 소비자들이 그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규제해야 한다. 나트륨이 낮은 제품이나 식당 메뉴 등을 선택함으로써 과연 얼마나 나트륨 섭취가 감소되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계산 프로그램을 보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식생활 변화, 노력하면 가능하다
국민의 식생활 개선을 위해서는 식량의 생산 가공 유통 급식과 외식 등에 관련된 정부 부서들 간의 원활한 정책조정과 지원이 필요하다. 학계의 지속적인 연구와 관련 업계, 그리고 시민의 협조도 필요하다. 미국인들의 지방 섭취량 감소는 식품업계의 호응이 크게 도움이 됐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1970년경 전체 우유 공급에서 저지방 무지방 우유의 비중은 19%에 불과했으나, 2005년에는 67%로 증가했다. 동물성 유지류 제품은 16% 감소한 반면에 식물성지방 제품은 92% 증가했다. 이로써 국민들은 몸에 해로운 포화지방을 줄이고 불포화지방 섭취를 늘리도록 식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한국에서도 ‘나트륨 줄이기’ 운동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선도적 노력과 함께 국민적인 협조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백희영 객원논설위원·서울대 생활과학대학 교수 hypaik@snu.ac.kr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나트륨(Na)의 과잉 섭취다. 얼마 전부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나트륨 줄이기’ 운동을 시작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한국인들의 나트륨 섭취량(1일 약 4800mg)은 세계보건기구(WHO)와 한국영양학회가 제시하는 섭취목표량(2000mg)의 2배를 훨씬 넘는다. 구미(歐美)에 비해서는 1400mg 정도나 많으며, 우리처럼 장류 음식을 많이 먹는 일본에 비해서도 약 600mg이나 더 많다. 지난 2년 동안에도 7%나 증가해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김치와 장류 소금 함량 낮춰야
나트륨 과잉 섭취는 고혈압, 암, 신장병, 골다공증, 비만 등 만성질병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32%가 고혈압이 있으며, 나트륨 과잉 섭취로 인한 진료비가 연 5조 원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수명은 선진국과 비슷하지만, ‘건강 수명’은 2, 3년 정도 짧다. 100세 시대를 바라보는 현 시점에서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는 것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나 국가경제적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다.
한국인들의 나트륨 과잉 섭취는 음식에 소금(NaCl)을 너무 많이 넣기 때문이다. 실제로 짠맛을 내는 것은 염소(Cl)지만, 소금에 나트륨이 함께 들어 있어 과잉 섭취로 이어지는 것이다. 인류가 단맛을 좋아하는 것은 선천적이나 짠맛에 대한 선호는 후천적이다. 짠맛이 전혀 없는 모유를 아기들이 가장 좋아한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기들이 이유식에서 시작하여 점차 어른과 더불어 식생활을 해나가면서 짠 음식에 익숙해지고, 짠맛을 선호하게 된다. 한국인들의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려면 크게 두 가지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전통 음식문화와 관련해 개선할 점이다. 한국인들의 짠 음식 과잉 섭취는 국, 찌개 등 국물 음식과 김치나 장류처럼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이다. 한국인은 배추김치에서 총 나트륨 섭취량의 약 20%를 섭취한다. 김치는 장점이 많은 음식이지만 나트륨 함량을 낮추지 않는 한 세계인들이 애호하는 건강식으로 자리매김하기 어렵다. 우리의 전통적인 식생활 문화를 보존하면서도 냉장고가 없던 시대에 형성된 소금 과용 습관은 줄일 수 있는 ‘저나트륨 제품’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대체 소금’을 개발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소금에서 나트륨의 일부를 칼륨(K), 마그네슘(Mg) 등 다른 무기질로 대체하는 것이다. 나트륨의 약 절반을 칼륨 등으로 대체해도 음식 맛에는 큰 영향이 없다. 다만 대체소금을 사용해도 김치나 장류의 발효가 제대로 될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외식이나 급식에서 개선할 점이다. 직장인들의 회식은 말할 나위가 없거니와 학교와 직장 급식의 확대 등으로 한국인들의 식생활에서 외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개인 수준의 노력으로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 상태다. 결국 정부가 급식, 외식 공급자들에게 음식에 포함된 나트륨 함량을 줄이도록 권장하고, 소비자들이 그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규제해야 한다. 나트륨이 낮은 제품이나 식당 메뉴 등을 선택함으로써 과연 얼마나 나트륨 섭취가 감소되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계산 프로그램을 보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식생활 변화, 노력하면 가능하다
국민의 식생활 개선을 위해서는 식량의 생산 가공 유통 급식과 외식 등에 관련된 정부 부서들 간의 원활한 정책조정과 지원이 필요하다. 학계의 지속적인 연구와 관련 업계, 그리고 시민의 협조도 필요하다. 미국인들의 지방 섭취량 감소는 식품업계의 호응이 크게 도움이 됐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1970년경 전체 우유 공급에서 저지방 무지방 우유의 비중은 19%에 불과했으나, 2005년에는 67%로 증가했다. 동물성 유지류 제품은 16% 감소한 반면에 식물성지방 제품은 92% 증가했다. 이로써 국민들은 몸에 해로운 포화지방을 줄이고 불포화지방 섭취를 늘리도록 식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한국에서도 ‘나트륨 줄이기’ 운동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선도적 노력과 함께 국민적인 협조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백희영 객원논설위원·서울대 생활과학대학 교수 hypaik@snu.ac.kr
'창(窓)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아두면 득이 되는 음식상식 50가지 (0) | 2013.07.19 |
---|---|
[스크랩] 아프면 이곳을 눌러주세요 (0) | 2013.04.19 |
혈액응고 / 뇌졸중을 알리는 4가지 징조 (0) | 2012.04.08 |
[10 Less 10 More… 癌을 이기는 식탁] (0) | 2012.04.02 |
Mist of Body (0) | 201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