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窓)/이런일 저런일

서울 김옥균 주교 선종

namsarang 2010. 3. 8. 18:09

서울 김옥균 주교 선종


 
용인공원묘지 성직자묘역에 안장



서울대교구 김옥균(바오로, 원로사목자) 주교가 1일 새벽 3시 3분 서울 여의도 성모병원에서 숙환으로 선종했다. 향년 85살.

 교구는 1일 "김 주교 장례미사를 3일 오전 10시 서울 명동주교좌성당에서 교구장 정진석 추기경 주례로 봉헌하며, 시신은 서울대교구 용인공원묘지 성직자묘역에 안장한다"고 밝혔다. 주교 장례를 3일장으로 하는 것은 자신의 장례절차를 사제들과 똑같이 소박하게 해달라는 생전 김 주교의 간곡한 요청에 따른 것이다.

 김 주교는 선종 이틀 전인 2월 27일 아침 여의도 성모병원 원목부실장 전기석 신부에게 마지막으로 고해성사를 드린 후 "교회와 하느님, 나 자신에게 너무 부족한 사람이었다. 일생 동안 베풀어주신 모든 은혜에 대해 하느님께 감사드린다"는 말을 남겼다. 이후 오전 11시 병실을 찾은 정진석 추기경의 기도와 축복에 "아멘"이라고 응답한 뒤 의식을 잃고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성모병원측은 생전에 사후 장기기증을 서약했던 김 주교 뜻에 따라 선종 직후인 오전 4시 고인의 각막을 적출하는 수술을 했다. 두 개의 각막은 모두 양호한 상태로, 두 사람에게 빛을 줄 수 있게 됐다.

 1925년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난 김 주교는 성신대학(현 가톨릭대)과 프랑스 릴가톨릭대를 졸업하고 1954년 프랑스 현지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1959년 귀국한 김 주교는 교구장 비서 겸 가톨릭출판사 사장, 교구 상서국장, 종로ㆍ흑석동ㆍ당산동ㆍ노량진동ㆍ청파동ㆍ수유동본당 주임, 서울대교구 사무처장ㆍ관리국장 등을 역임한 뒤 1985년 주교로 서품됐다.

 김 주교는 1984년부터 17년간 교구 총대리로서 교구 행정을 체계화하고 안정적 재정 운영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한국천주교회 200주년 기념 신앙대회 및 103위 시성식(1984년)과 제44차 서울 세계성체대회(1989년)를 성공적으로 치렀다. 또 1989년부터 2001년 사목 일선에서 물러날 때까지 평화방송ㆍ평화신문 이사장을 맡아 교회 매스컴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교구 신자들은 김 주교 선종 소식이 알려지자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 지하성당을 찾아 연도를 바치며 고인의 안식을 기원했다. 교구 문화홍보국장 허영엽 신부는 "서울대교구가 오늘날과 같이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신 김 주교님은 사제와 신자 한 명 한 명을 항상 따뜻하게 맞아주신 인자한 분이었다"고 추모했다.
남정률 기자 njyul@pbc.co.kr
사진=전대식 기자 jfaco@
백영민 기자 heelen@

▲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추기경이 2일 명동성당 지하성당에서 김옥균 주교 입관예절을 주례하고 있다. 백영민 기자 heelen@pbc.co.kr

 

 

고(故) 김옥균 주교 선종 이모저모

“티 없이 맑고 깊은 내적 성화 이룬 분”
조카·조카손자신부 등 배웅 받으며 마지막 인사
생전 의지 따라 각막 기증 … 장례도 간소히 치러
명동성당에 유해 안치 … 매 시간 위령미사 봉헌
발행일 : 2010-03-07 [제2687호, 10면]

   
이른 봄날 새벽, 자리를 털고 다시 일어나길 바라는 수많은 이들의 바람을 뒤로 한 채 김옥균 주교는 하느님 곁으로 돌아갔다.

2월 27일 오전 마지막 고해성사 직후엔 “교회와 하느님, 나 자신에게 너무 부족한 사람이었다”며 감사하다는 인사를 유언으로 남겼다. “장례는 다른 신부님들처럼 소박하게 치러달라”던 고인의 간곡한 부탁에 따라 전체 장례일정은 3일장으로 진행됐다.

○…2월 12일 병세 악화로 입원한 김 주교는 끝내 일어나지 못했다. 27일 병실을 찾은 교구장 정진석 추기경이 라틴어의 교황 강복을 하자 ‘아멘’이라고 똑똑히 응답했지만, 곧바로 의식을 잃었다.

이어 3월 1일 오전 3시3분경, 김 주교는 조카 김정직 신부(서울대교구)와 조카 손자 유기상 신부(서울대교구)를 비롯해 교구 사제들과 수도자, 친지들의 배웅을 받으며 이 땅에서의 마지막 인사를 나눴다. 인공적인 장치로 생명을 연장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선종할 수 있게 해달라는 고인의 뜻에 따라 이어진 조용한 시간이었다.

마지막 고해성사를 집전한 여의도 성모병원 원목부실장 전기석 신부는 “김 주교님은 오랜 시간 지병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었을 텐데도, 매순간 만나는 이들과 따듯한 대화를 나누며 삶을 평안히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오전 4시경 성모병원 의료진들에 의해 각막 적출 시술이 진행됐다. 생전에 서약한 사후장기기증 의사에 따른 것. 김 주교의 각막은 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정돼 일주일 안에 다른 사람들에게 이식돼 생명의 빛을 전할 예정이다.

오전 7시경 명동본당 주임 박신언 몬시뇰과 교구 사제들은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유해 안치 예절을 거행했다. 이어 첫 위령미사는 김정직·유기상 신부 등의 공동집전으로 봉헌됐다.

국경일에다 비와 진눈깨비가 내리치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빈소에는 매시간 위령미사를 봉헌하고 연도를 바치는 신자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빈소는 서울 명동성당 지하성당과 문화관 2층 소성당, 꼬스트홀에 마련됐다.

특히 위령미사는 각 지구별로, 전 사제와 신자들이 매 시간 번갈아 봉헌해 추모의 마음을 한데 모았다. 교구 내에서 선종 당일부터 지구별로 매 시간 미사를 봉헌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지난 수년간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시면서도 항상 교구 걱정을 입에 달고 사신 분이셨습니다.” 서울 혜화동 지혜관 숙소에서 함께 생활해온 조순창 신부는 “김 주교님은 평소 중한 환자라는 것이 믿기지 않을 만큼 늘 밝은 표정을 유지하고 굳건한 모습을 보여 더욱 존경스러웠다”며 “특히 선종 직전 병문안을 했을 때 보이셨던 티없이 맑고 깨끗한 인상에 깊은 내적 성화를 이룬 분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고 밝혔다.

김 주교에게 세례에 이어 부제품과 사제품을 연이어 받은 성바오로수도회 준관구장 안성철 신부는 “김 주교님은 아이들과 매일같이 공차기를 하고, 호주머니엔 사탕을 가득 넣고 다니며 나눠주는 인자한 아버지 같은 신부님이셨다”고 기억했다. 안 신부는 특히 “김 주교님은 서품식 전 면담을 통해 ‘사제의 삶은 끝없이 그리스도의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사람을 섬겨야하는 직분이며 그러한 삶은 기도없이는 불가능하다’며 ‘기도하고 기도하고 또 기도하라’는 당부를 남기셨다”고 말했다.

마지막까지 곁을 지켰던 김 주교의 조카 사위 유광수(다니엘)씨는 “주교님은 평소에 가족들에게는 항상 바르게 살라는 말을 자주 강조하셨다”고 회고했다.



■ 추모사 / 서울대교구 단중독사목위원장 허근 신부

“한 줄기 빛 되어준 그 사랑에 감사”

받은 것은 너무 많은데 해드린 것은 너무나 없어 그저 아쉬운 마음뿐입니다. 쏟아지는 눈물에 글 한 줄 쓰기가, 말 한마디 하기가 힘겹습니다.

제가 사제로서의 삶을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특히 알코올 사목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김 주교님의 배려와 격려 덕분이었기에 더욱 마음 저립니다.

한때 저는 알코올 중독으로 무뎌질 대로 무뎌진 마음을 안고 살았습니다. 저를 아끼고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이 술을 끊으라고 권고했지만,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김 주교님의 따끔한 꾸짖음도 있었지만 단주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그러던 1998년 초, 주교님은 저를 불러 전문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라며 눈물어린 충고를 하셨습니다. 주교 서품 후 사회사목 실습으로 알코올중독자 치료 재활모임에서 지내셨던 경험을 바탕으로 저를 도와주셨던 것입니다. 덕분에 용기를 낸 저는 치료를 받았고, 주교님의 배려로 알코올사목도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해 12월에는 건강이 매우 악화됐음에도 불구하고 휠체어를 타고 알코올사목센터 개원 10주년 행사에는 오셔서 축하해주셨습니다.

주교님께선 저만 이렇게 배려해주셨던 것이 아닙니다. 특히 후배 사제들에게는 사제로서 살다보면 겪는 각종 유혹들과 어려움들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항상 방패막이가 되어 주셨습니다. 사제직분을 포기하지 않도록 위기 때마다 붙들어주는 자애롭고 든든한 아버지의 모습이었습니다.

게다가 단 한 명의 예비신자가 있는 곳이라도 기꺼이 달려가 세례성사를 주셨습니다. 누가 부탁을 하든 건강만 허락하면 흔쾌히 달려와 주셨습니다.

사목을 하면서 신자 수에 연연하지 말라고 당부하셨습니다. 자칫하면 스스로 불행해지거나, 신자가 많은 본당에 있다가 적게 있는 본당에 가는 것을 좌천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설명도 해주셨습니다. 신자 한 명 한 명 모두가 하느님 안에서 소중한 존재이므로 그들을 돌봐야 한다고 당부하셨습니다.

이제는 식사 때마다, 산책할 때마다, 부활이나 성탄 때마다 살그머니 챙겨주시는 작은 선물도, 직접 써주시는 카드도 받지 못하겠지요. 봄이면 함박 웃음지으며 꽃나무들을 가꾸시던 모습도 볼 수 없겠지요. 많은 사제들이 마음 편히 찾아가 하소연할 친정어머니를 잃은 기분이겠지요.

주교님의 떠나시는 마지막 뒷모습에 이 한마디 밖에 드릴 것이 없습니다.

“주교님, 당신과 함께 살았던 시간들이 너무나 행복했습니다. 편안히 쉬시고 신자들을 위해, 사제들을 위해, 교구를 위해 기도해 주십시오.” 
 
 
                                                         가톨릭 신문 주정아 기자 ( stella@catimes.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