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코리아 스탠더드

[2] 한국형 신도시의 경쟁력은?… 스피드 工期와 첨단 IT기술

namsarang 2010. 4. 9. 22:28

[조선일보 창간 90주년 특집] [세계에 심는 '코리아 스탠더드']

[2] 한국형 신도시의 경쟁력은?… 스피드 工期와 첨단 IT기술

 

한국형 신도시 건설의 글로벌 경쟁력은 무엇보다 '납기 단축'에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영국, 일본 같은 선진국은 통상 신도시 건설에 20~30년 걸리는 반면에 한국 건설업체들이 맡는 신도시 건설 기간은 5~7년에 불과해 공기(工期)를 4~5배나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신도시 건설 기술과 노하우가 축적돼 있다는 뜻이다. 중동, 아프리카 국가들이 한국 기업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가 이 같은 '스피드 기술'이다.

한국 업체들의 저비용 사업구조도 해외진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신도시의 인구 수용 규모가 작게는 3만명, 많아도 10만명을 넘는 경우가 드물다. 반면 우리나라 업체들은 해외에서 인구 30만~50만명의 대규모 신도시를 많이 짓는다. 국내에서 분당, 일산 등 국내 대규모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터득한 저비용 사업구조가 해외에서도 강력한 개발비용 경쟁력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첨단 IT기술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시티(U-city·유비쿼터스 시티·IT기술을 기반으로 시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제공하는 기반을 갖춘 도시), 친환경 에코-시티(Eco-city) 등을 결합한 첨단 그린도시 등 다양한 형태의 도시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기업의 신도시 수출이 더욱 뻗어가려면 적지 않은 과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우선, 해외시장 다각화 문제다. 1989년부터 시작된 해외 도시개발사업은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후진국에 치우쳐 있다. 선진국에 비해 불확실성이 높은 이들 국가들의 경우 정치, 재정 문제가 어려워질 경우 자금 회수가 난관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다. 건설산업전략연구소 김선덕 소장은 "새로운 해외수주 발굴, 긴급 금융조달 같은 대응능력을 키우는 것이 건설사들의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