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窓)/게시판

예술에 침 뱉는 예술 교수의 타락

namsarang 2011. 2. 23. 23:06

[홍찬식 칼럼]

예술에 침 뱉는 예술 교수의 타락

 

학생들을 상습적으로 폭행한 의혹을 받아온 서울대 음대 김인혜 교수에게 직위해제 조치가 내려졌다. 이번 일은 해당 교수가 수업 중에 학생을 마구 때렸다는 폭행 문제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일단 의혹이 공개되자 또 다른 비상식적인 행적들이 학생들의 증언을 통해 꼬리를 물고 드러났다. 음대 교수가 한 학기에 16차례 해야 하는 실기수업을 한두 번만 하고 다한 것처럼 기록부를 작성했으며 가족 행사에 제자들을 동원해 노래를 부르게 했다고 한다. 음악회 티켓 강매 등 금품 수수 의혹도 제기됐다.

추문 있어도 노출 안 되는 구조

한 예술계 인사는 “음악계 내부 문제는 밖으로 노출되는 적이 거의 없다”며 이번 일이 공개된 것 자체를 의아해했다. 학생들이 억울한 일을 당해도 교수의 권한과 영향력이 어느 분야보다도 절대적이기 때문에 그대로 묻혀 지나갈 수밖에 없는 풍토라는 것이다. 학생들이 내부 고발을 하려면 학교를 떠나거나 음악을 포기하는 것까지 각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번 일의 경우 가정에서 애지중지 신줏단지처럼 커온 요즘 학생들이 폭행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수면 위로 드러났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의 폭행 문제가 교내에서 불거진 뒤 자체 조사를 벌여온 서울대 측은 피해 학생의 진술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익명으로 진술하겠다는 피해 학생은 적지 않았으나 실명을 밝히며 진술하기를 꺼렸기 때문이다. 서울대는 사흘 동안 학생을 설득해 겨우 진술서에 서명을 받아낼 정도였다. 김 교수가 피해자 진술에 협조한 학생들을 자신의 집으로 호출했다는 소식에 서울대 측은 김 교수에 대한 직위해제 조치를 앞당겨 내렸다. 자칫 학생들이 진술을 바꿀 가능성 때문이다. 음대 분위기가 얼마나 폐쇄적이고 권위적인지, 음대 교수의 힘이 얼마나 막강한지 실감할 수 있다.

따라서 폭행 의혹도 심각한 문제지만 이런 일이 언제든 벌어질 수 있는 구조적 측면에 먼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대만의 문제는 아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예술계 대학이 거의 비슷한 상황이다. 예술계 교수들의 힘은 주관적 평가에서 나온다. 예술 창작에는 정답이 없는 만큼 교수들이 특정 학생의 예술적 성취도를 높이 평가할 때 다른 사람이 시비를 걸기 어렵다. 무명의 예술지망생에게 교수는 자신의 장래를 좌우할 수 있는 하늘같은 존재다. 교수들의 재량이 결정적인 만큼 더 큰 도덕성과 정의가 요구되는 분야가 예술계 대학이다.

외부로부터의 개혁 필요하다

 

하지만 예술계의 추문은 끊이지 않았다. 대학 입학 이전부터 시작해 음악 분야의 콩쿠르나 미술 분야의 공모전 심사, 교수 임용에 이르기까지 교육 및 양성 과정에 비리가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일부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적도 있다. 2008년 홍익대 미대 김승연 교수가 내부 고발을 통해 홍익대의 입시 부정을 폭로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 사건과 관련해 교수 6명이 내부 조사를 거쳐 대학 자체 징계를 받았으며 학교 측은 검찰에 수사 의뢰까지 했다. 하지만 해당 교수들은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을 받고 사건은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내부 고발에 나선 김 교수는 징계를 받은 교수들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을 당했고,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기는 했지만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어야 했다. 입시 비리 의혹에 연루돼 징계를 받은 일부 교수는 지난해 이 대학 입시에서 다시 출제위원이나 심사위원으로 복귀했다. 이른바 명문으로 알려진 예술계 대학들의 난맥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 폭행 의혹이 불거지면서 음악계 안팎에서는 ‘불편한 진실’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음대 교수들이 여전히 대학 진학 예정자들에게 레슨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거액이 오가는 교수의 외부 레슨은 부정 입학의 연결고리가 될 소지가 크기 때문에 금지돼 있다. 부정 입학은 지금처럼 교수가 학생 위에 제왕처럼 군림하는 예술계 풍토에서 언제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반 국민이 공공 영역에 기대하는 도덕적 기준은 크게 높아졌다. 위장전입은 장관의 결격 사유가 됐고, 석연찮은 이유로 군대를 가지 않은 사람은 큰 공직을 맡기도 어려워지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로펌에서 높은 연봉을 받은 변호사도 공직 진출을 꿈꾸기 어려워질 정도다. 사회 모든 분야에서 정의와 공정에 대한 인식이 한결 엄격해졌다는 기준에서 볼 때 명문 예술계 대학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은 많은 국민에게 ‘아직도 이런 분야가 있을 수 있느냐’는 분노를 사기에 충분하다.

스스로 변화할 수 없다면 외부에서 나설 수밖에 없다. 서울대와 교육당국은 이번 일을 계기로 예술계 교수들의 횡포와 비리에 대해 총체적인 점검에 나서야 한다. 피해자는 오늘도 예술가의 꿈을 키워가는 젊은이들이다. 예술세계에도 정의는 필요하다. 예술 교수가 예술에 침 뱉는 듯한 행태를 그냥 두고 보기 어렵다.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chansi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