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를 도울 만한 경제적 여력은 없었다. 1969년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210달러에 불과했다. 오히려 해외 원조를 받는 주요 수혜국이었다. 그러나 북한과의 외교 전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면 '대외 원조'는 필수적이었다. 외교부 관계자는 "1960년대 우리나라 공적원조는 아프리카에 집중됐다"며 "당시 이 지역의 외교 경쟁에서 북한이 우위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 ▲ 6·25전쟁 때의 원조
유상원조 사업은 1987년 300억원의 대외경제협력기금을 조성하면서 본궤도에 올랐다. 이 기금은 개도국의 경제 발전을 돕는 차관(借款)으로 사용됐다. 정부 당국자는 "80년대부터는 북한과의 국력 차가 확연해져 한국 경제와 원조 프로그램을 연계시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1991년에는 무상원조 전담기관으로 외교부 산하에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설립했다. 우리나라의 대외 원조는 1988년 서울올림픽을 거치면서 꾸준히 증가해 2005년엔 국민총소득(GNI)의 0.1%인 7억5200만달러에 달했다. 작년에는 GNI의 0.09%인 9억400만달러로 집계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25위권이다.
그러나 6·25전쟁 때의 원조를 포함하여 1945년 해방 이후, 우리나라가 원조받은 액수와 경제 규모를 감안할 때 지금의 대외원조 규모가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많다. 1945~1999년 한국에 지원된 공적·사적 원조의 총 규모는 139억7600만달러에 이른다. 그중 약 70억달러가 무상원조다. 또 1964~1999년 개발 차관으로 312억달러를 받았다. 우리나라는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했지만 올해 유엔 분담금 2억달러 중 1억3000만달러를 체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