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 글로벌 통상국가의 집권당 될 자격 있나
기사입력 2012-02-17 03:00
세계에서 발효 중인 FTA 297건 가운데 한 나라의 일방적 요구로 협정이 파기된 사례는 없다. 한미 양국 의회가 비준한 한미 FTA를 폐기하겠다는 민주당에 정권을 맡겨도 되겠느냐는 회의론이 일기 시작하자 몸조심 모드로 돌아선 것 같다. 이용섭 정책위의장도 “재재협상이 일관된 방침”이라고 말을 다듬었다.
그러나 민주당 일각에는 아직도 한미 FTA 폐기 및 반대론자들이 일정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 분위기와 선거 지형의 변화에 따라 또 말이 어떻게 달라질지 모른다. 정동영 의원은 한미 FTA를 을사늑약이나 유신헌법과 동일시하는 발언을 한 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언급되는 빈도가 8위에서 5위로 뛰었다. 반(反)FTA로 ‘장사’가 된다 싶으면 전을 펴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다.
한미 FTA 협상을 시작한 노무현 전 대통령은 FTA 체결을 ‘개방형 통상국가’ 전략의 하나라고 판단했다. 그는 “FTA는 이념이 아니라 먹고사는 문제”(2007년 1월 23일)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경제 환경은 그때보다 더 악화했다. 좁은 땅에서 자원도 없이, 그야말로 통상으로 먹고사는 한국에 한미 FTA는 수출 생산 투자를 증대시키고 고용과 내수를 늘릴 수 있는 희망의 동아줄이다.
한미 FTA를 시행해보고 문제가 드러난다면 그때 재협상을 하면 된다. 한미 FTA에는 무역위원회 및 서비스투자위원회를 장관급으로 구성하고 최소 연 1회 FTA 이행 여부를 점검하는 조항이 들어 있다. 한미 FTA가 발효도 되기 전에 폐기니, 재재협상이니 하며 발목을 잡는 것은 민주당이 한미 FTA 반대론자들에게 휘둘리고 있다는 증거다. 민주당은 왜 한-유럽연합(EU) FTA는 괜찮고 한미 FTA는 안 되는지 설명하지도 못하고 있다. 민주당이 집권한다면 대체 무엇으로 국민을 잘 먹고 잘살게 할 것인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창(窓)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곽노현 교육감, 빗발치는 사퇴 요구 안 들리나 (0) | 2012.02.20 |
---|---|
‘핵안보 정상회의’가 뭔지 알고나 반대하는가 (0) | 2012.02.18 |
한명숙, MB 痛打 전에 盧정권 失政 반성해야 (0) | 2012.02.16 |
중국은 탈북자 북송해 ‘3대 멸족’을 도울 건가 (0) | 2012.02.14 |
“DJ, 노벨상 타려 김정일에 15억달러 주곤 2억달러만 줬다고…” (0) | 201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