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한국인을 괴롭힌 대표적인 질환은 암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낙상이 대표적인 질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한국인 '질병 부담' 순위에서도 낙상은 새롭게 7위에 진입했다. 기존에 순위권에 있던 간암과 위암은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낙상이 암보다 질병 부담이 큰 질환이 된 것이다. 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도 높고(위암의 경우 90% 이상), 완치 후에는 큰 후유증 없이 잘 사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낙상은 다르다. 낙상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고(낙상으로 고관절 골절이 생길 경우 1년 내 사망률 약 17%), 낙상으로 골절이 생긴 환자의 60%가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후유증이 심하다.

이처럼 낙상은 위험하지만, 노력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낙상은 ▲균형을 잘 못잡는 질병(치매·어지럼증)을 앓고 있거나 ▲낙상을 잘 유발하는 약물(수면제·항우울제) 복용하거나 ▲음주 ▲정돈되지 않은 집·미끄러운 바닥 등 나쁜 환경이 원인이다. 골다공증이 있다면 낙상을 당했을 때 골절 등이 생길 위험이 커지는데, 이 또한 골다공증을 관리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용찬 교수는 "일반적인 노인의 낙상 위험은 30% 정도"라며 "꾸준한 운동으로 근육을 키우고, 골다공증이 있다면 비타민D와 칼슘을 섭취하고, 집안 환경을 잘 정리하는 노인은 낙상 위험이 1% 정도로 줄어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0/20170110019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