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韓·日 강제병합 100년

긴박했던 조선의 운명]① 일제 군부, 국모를 시해하다

namsarang 2010. 9. 4. 23:56
[100년의 기억, 100년의 미래/긴박했던 조선의 운명]
 

① 일제 군부, 국모를 시해하다

 

건청궁 감싼 하얀 눈은 망국의 비극을 잊지말라 하네

■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되짚어본 을미사변 현장

운요호사건… 청일전쟁… ‘국력쇠약 대가’
왕실 짓밟히고 국모 피살되는 수모까지

1895년 10월 8일 오전 5시 반, 괴한들이 긴 사다리를 타고 경복궁 담을 넘어 광화문을 열어젖혔다. 이들은 궁 북단의 건청궁()까지 한달음에 달려가 고종의 처소인 장안당()과 왕비(명성황후)의 처소인 곤녕합()을 한순간에 아수라장으로 만들었다.



“저기가 피살 현장”
서울대 이태진 명예교수가 지난해 12월 29일 경복궁 내 장안당 뒷마당에서 명성황후가 살해되던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홍진환 기자

괴한들은 대원군의 입궁을 소리쳐 왕과 궁인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고, 그 틈에 일부는 곤녕합으로 침입했다. 왕은 장안당의 마루로 오르려는 자들을 직접 가로막았지만 괴한들은 왕의 어깨마저 함부로 밀쳤다. 이때 곤녕합에서는 한 여인이 궁녀들과 함께 장안당과 연결된 복도로 들어섰다. 좁은 복도를 다 지나 왕이 있는 장안당 마루 입새에 이르렀을 때, 뒤를 쫓던 괴한 중 하나가 그의 덜미를 잡았다. 그러곤 뒤뜰로 끌어내린 뒤 칼로 내리쳤다. 쓰러진 사람은 왕비였다. 칼을 휘두른 장본인은 일본 육군 소위 미야모토 다케타로()였다는 사실이 최근 새로 밝혀졌다. 일왕의 명령을 따르는 일본 군부가 을미사변을 일으킨 것이다.

지난해 12월 29일 건청궁에는 그 비극을 감싸 위로하려는 듯 눈이 내리고 있었다. 괴한들의 침입도(사건 당시 우치다 사다쓰치· 일본 영사가 작성)와 비교하며 둘러본 장안당의 뒤뜰과 곤녕합의 복도는 ‘100여 년 전의 역사를 제대로 직시하라’고 요구했다.

○ 대본영의 지시로 왕비 시해

괴한들은 왕비의 시신을 곤녕합의 옥호루()로 옮겨 사진과 얼굴 대조를 마친 뒤 시신을 곤녕합 옆의 녹산()으로 옮겨 나무더미를 쌓고 태웠다. 타고 남은 시신을 건청궁 앞에 있는 연못 향원정에 던졌지만 곧 수면으로 떠올라 다시 거두어 녹산 기슭에 묻었다.



최근 재일동포 여류사학자 김문자 씨는 일본 군부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한 연구서 ‘조선 왕비 살해와 일본인’에서 일본군 최고사령탑인 대본영()이 왕비 살해를 지시한 사실을 밝히고 있다. 현장을 지휘한 것은 8명의 육군 장교였다. 지금껏 ‘낭인’들의 소행으로 알려진 것은 ‘연막’이었다.

○ 조선 침탈의 시작, 운요호 사건

일제의 조선 침략은 을미사변 20년 전인 1875년 운요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68년 일왕 옹립 후 유신세력이 가장 먼저 창설했던 해군은 1874년 대만 사건에 이어 1875년 9월 운요호 사건을 일으켜 조선 침략 야욕을 드러냈다.

2002년, 그간 일본 방위청 자료관에 깊이 묻혀 있던 운요호 함장의 제1차 보고서가 서울과 일본 도쿄에서 논문을 통해 동시에 공개됐다. 보고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운요호 사건의 내용이 거짓이었음을 그대로 드러냈다. 이 배는 일본의 주장과는 달리 처음부터 국기를 달고 있지 않았다. 조선 포대의 발포는 정당한 것이었다. 일본 외무성은 도쿄 주재 서양 외교관들의 사건 설명 요구에 대비해 나가사키에 있던 함장을 불러올려 보고서를 고쳐 쓰게 했다. 중국 랴오둥()으로 가던 중 식수가 떨어져 국기를 달고 접근하였다는 거짓 내용은 이때 들어갔다.

역사의 진실이 감추어진 근대 한일관계사는 여전히 많다. 가해자가 진정한 사과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 피해자가 피해 사실을 제대로 정리해 두지 않으면 화해의 의미도 그만큼 빛을 잃을 수밖에 없다.

○ 청일전쟁 직전에도 궁중 침입

일본은 청국과의 일전을 위해 1889년 징병제를 개정해 병력 규모를 3만 명에서 36만 명으로 대폭 늘렸다.

1894년 초여름 동학농민군 봉기 진압 명분으로 양국의 동시 출병이 이루어졌다. 이때 일본군 1개 혼성여단(8000명)은 동학군의 활동 근거지인 전북 전주 쪽이 아니라 서울로 향했다. 농민군 봉기에 대한 근본 대책으로 조선 정부에 내정 개혁을 요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선 정부는 이에 강력히 반발했다. 일본 측은 회유를 거듭하다가 7월 23일 0시 30분을 기해 여단 병력이 도성을 둘러싼 가운데 1개 대대 병력을 경복궁 안으로 투입해 왕을 포로로 삼다시피 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 대륙 침략을 위한 준비

일본군은 1894년 6월 5일 동시 출병 때 이미 청국과의 전쟁을 각오하고 대본영을 설치했다.

1895년 4월, 전쟁은 일본의 승리로 끝났다. 전쟁이 끝났는데도 일본군은 철수를 꺼렸다. 일본 군부는 전신선 관리를 위해 1개 대대 규모 이상의 병력을 주둔시키기를 바랐다. 조선 국왕과 왕비는 이를 거부하고 전면 철수를 요구했다. 이에 대본영은 육군 중장 출신의 미우라 고로()를 조선 공사로 임명하고 그에게 왕비 살해의 밀명을 내렸던 것이다.

을미사변을 전후로 한 일련의 사건은 일본 군부가 주도했음이 명확하다. 국력의 쇠약은 우리 왕과 왕비의 안방까지 군홧발에 짓밟히는 전대미문의 사건으로 이어졌다. 사건이 있은 지 한 세기가 넘었지만 건청궁의 뒤뜰과 복도, 녹산의 기슭은 비운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말라고 외치고 있다.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 오를 날은…

우파 반발에 번번이 무산
작년 영상 특별공연이 전부



뮤지컬 ‘명성황후’가 아직 일본 무대에 오르지 못했지만 을미사변 당시 시해 낭인의 후손들이 한국의 공연장을 찾았다. 후손 중 한 명인 가와노 다스미 씨가 2007년 11월 경복궁 건청궁에서 ‘명성황후’ 공연 전 주인공 이태원 씨를 만나 손을 잡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조선의 국모가 자신의 왕궁에서 죽임을 당한 을미사변은 일제가 침략의 야욕을 본격화하는 신호탄이었다.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운 이 사건의 상징성 때문일까. 이 사건을 소재로 한 뮤지컬 ‘명성황후’는 1995년 초연 이래 영국 미국 등 해외에서 성황리에 공연됐지만 일본에서는 아직 무대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8일 일본 규슈 구마모토 가쿠엔대 6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특별공연’이 전부였다. 특별공연이라고 한 이유는 배우들이 무대에서 연기를 하지 않고 2시간 10분 분량의 공연을 1시간으로 줄인 영상을 대형 스크린으로 상영하면서 주제가 등 다섯 곡을 배우들이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명성황후 시해 당시 일본 군부는 대원군을 앞세워 경복궁에 난입했다. 자신들의 계획이 성공하면 그에게 살해의 책임을 전가하고, 비상사태를 빌미로 일본군이 조선에 대규모로 주둔하는 상황을 예상했다. 이 계획은 본래 오전 4시경에 완료하는 것이었는데 대원군을 동원할 때 시간 차질이 생겨 날이 밝아오던 5시 30분경 궁궐로 들어가게 되는 바람에 일본의 행각임이 세상에 알려졌다. 이때 함께 궁을 난입했던 사무라이를 비롯한 48명 중 21명의 출신지가 구마모토였다.

뮤지컬 명성황후는 1998년 후지TV 주최로 일본에 진출하려다 무산되었고 2002년 한일 월드컵 때도 추진됐지만 실패했다. 공연을 추진하던 일본 측 파트너가 우파가 주도하는 여론의 반발을 의식해 도중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뮤지컬 명성황후를 제작·연출한 윤호진 에이콤 대표는 “일본 측 파트너 중 ‘이제는 공연이 가능할 정도로 사회적 분위기가 좋아졌다’는 반응이 많고, 하토야마 유키오 정권도 동아시아를 중시하겠다고 한 만큼 올해나 내년에는 공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진석 기자 jameshu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