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는 가도 ‘세습’은 남았다 ‘주체’는 가도 ‘세습’은 남았다 황장엽 씨 사망 9일전 본보 기자와 ‘마지막 인터뷰’ “못사는 北보다 갈라진 南이 더 걱정돼 김정은, 개혁 개방 안할땐 비판 받을것”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87·사진)는 10일 사망하기 9일 전인 1일 동아일보 기자와 만나 지난달 말 북한의 3대 세습 후계자.. 잡동사니/참고 2010.10.11
한국은 중국어 쓴다 [횡설수설/이진녕] 한국은 중국어 쓴다 군 출신이 통치하는 나라, 옛 포르투갈의 식민지,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동남아에 속하는 나라, 세계문화유산이 없는 나라, 영양부실 국가. 어느 나라에 대한 설명일까. 터무니없게도 이탈리아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독일 멕시코 칠레의 교과서에 나온 한국 관.. 잡동사니/참고 2010.10.09
장제스 前중화민국 총통 일기를 통해 본 광복전후史 장제스 前중화민국 총통 일기를 통해 본 광복전후史 “귀국하는 김구에 거액 전달… 한국에 어찌 후하지 않으랴” 중화민국의 기틀을 다진 장제스(蔣介石·1887∼1975) 전 대만 총통이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고 광복 후 귀국하는 백범 김구 선생에게 거액을 지원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장제스의 일.. 잡동사니/참고 2010.10.07
급변하는 아시아 안보지형 [시론/브라마 첼라니] 급변하는 아시아 안보지형 한국과 인도는 최근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을 시작했다. 아시아 전역에 걸쳐 새로운 안보 체계가 구축되는 셈이다. 앞으로 수십 년간 아시아의 지정학적 지형이 어떻게 진화할지 예측하기 쉽지 않지만 점차 힘을 얻는 중국이 결과적으로 아시아에서 .. 잡동사니/참고 2010.10.06
변하지 않는 北, 변화하는 北 [세계의 눈/오코노기 마사오] 변하지 않는 北, 변화하는 北 지난달 28일 열린 북한 조선노동당 대표자회와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최후의 김정일 체제’이자 ‘최초의 김정은 체제’가 탄생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중심으로 하고 김정은 대장이 보좌하는 ‘2인3각’ 체제가 출발한 것이다. 이 .. 잡동사니/참고 2010.10.05
아편전쟁 굴욕 상징 임칙서…170년만에 굴기의 영웅으로 [다시 포효하는 중화제국] 아편전쟁 굴욕 상징 임칙서…170년만에 굴기의 영웅으로 “과거의 아픔 잊지 말자” 유배지-아편 폐기한 곳… 중화민족주의 교육장 변모 아편 폐기한 곳에 임칙서 동상 중국 광둥 성 둥관 시 ‘아편전쟁 및 임칙서기념관’의 임칙서 동상. 청나라 말기 영국의 아편 수출을 막.. 잡동사니/참고 2010.10.02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횡설수설/정성희]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지난해 서울의 중고교생 체력검사에서 최하등급인 5급이 28.4%, 4급은 24.8%로 전체 학생의 53%가 평균에 못 미치는 낮은 체력을 보였다. 체력이 뛰어난 그룹인 1∼2급 비율은 25.3%로 4∼5급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중학생의 체력 저하도 고등학생 못지않게 두드.. 잡동사니/참고 2010.09.29
설(추석) 차례상 및 차례지내는 법 설(추석) 차례상 및 차례지내는 법 1. 분향 재배 제주가 제상앞에 정중하게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두손으로 향불에 분향을 한 뒤 절을 두 번 한다. 2. 강신 재배 강신이란 신위(神位)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제주이하 모든 사람이 손을 모아 서 있고,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 잡동사니/참고 2010.09.24
차례상 이렇게 차리세요 차례상 이렇게 차리세요 저마다의 색을 뽐내며 익어가는 오곡과 과실 사이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다. 한해의 풍성한 수확을 조상께 감사드리는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 한가위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교회는 제사를 우상숭배가 아닌 조상을 공경하는 아름다운 전통으로 여겨 허용하고 있다. .. 잡동사니/참고 2010.09.20
우리나라 전통 놀이 우리나라 전통 놀이 1. 개뼉다귀: 땅에 그림을 그리고 한쪽에서 다른 쪽까지 통과하는 형태의 놀이. '개뼉다귀'라는 이름은 땅에 그린 그림이 개가 즐겨먹는 뼈다귀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전지방에서는 ‘큰집 작은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가마타기 : 두 아이가 마.. 잡동사니/참고 2010.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