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키다리 아저씨'의 특별한 생일손님 [사람과 이야기] 마산 '키다리 아저씨'의 특별한 생일손님 마산=조백건 기자 loogun@chosun.com ▲ 지난달 31일 생일을 맞은 김광남씨(오른쪽)가 경남 마산시 완월동 자택에서 자신이 1999년부터 5년간 후원해줬던 김모씨(22)를 초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김용우 기자 yw-kim@chosun.com 암투병 김광남씨, 교직원 .. 창(窓)/게시판 2009.11.05
키작은 나폴레옹? 사실은 170㎝… 낙제생 아인슈타인? 성적 뛰어나 키작은 나폴레옹? 사실은 170㎝… 낙제생 아인슈타인? 성적 뛰어나 전병근 기자 bkjeon@chosun.com 英타임스 '10大 오해' 소개'천재 물리학자 아인슈타인도 학교에선 지진아였다'며 위안을 삼는 학생이 있다면 생각을 고쳐먹는 게 좋겠다. 또 야심만만한 단신(短身)의 사내를 나폴레옹에 비유해 오던 습관도 .. 창(窓)/게시판 2009.11.04
대한 청년, 타는 목마름으로 "대한 독립 만세"... [특집] 안중근 하얼빈 의거 100주년③ 의병 독립투쟁 대한 청년, 타는 목마름으로 "대한 독립 만세"... "뿌리 없는 나무가 어찌 자라고, 나라 없는 백성이 어디서 안심을..." 의병부대 결성해 일본군 수비대와 맞서지만 일본군 및 상인 포로 석방... 전투 후 장맛비 맞으며 굶주림에 시달리면서도 동료들에 .. 창(窓)/게시판 2009.11.01
안중근의사 의거 100주년과 '동양평화론' [사설] 안중근의사 의거 100주년과 '동양평화론' 26일은 안중근 의사가 중국 하얼빈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지 꼭 100년이 되는 날이다.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역에서 쏘아 올린 6발의 총성은 1905년 을사늑약, 1907년 정미7조약과 군대 해산을 거쳐 나라가 망국.. 창(窓)/게시판 2009.10.26
지구촌 기아 해방을 위해… 20년간 행군, 또 행군 [사람과 이야기] 지구촌 기아 해방을 위해… 20년간 행군, 또 행군 박순찬 기자 ideachan@chosun.com 20주년 맞는 국내 첫 원조단체 '기아대책기구' "우리도 배고픈데" 비난속 사무실도 없이 첫 출발… 70개국에서 758명 봉사… 도움받다가 주는 나라로지난 2월 바짝 마른 황무지가 펼쳐진 케냐 북부 코어 지역의 .. 창(窓)/게시판 2009.10.25
하얼빈 역의 총성, 그 100년 뒤 하얼빈 역의 총성, 그 100년 뒤 최준석 최준석 님의 블로그 더보기 100년전에도 한국은 뒤흔든 10.26사태가 있었습니다. 쓰러진 사람은 이토 히로부미란 일본의 초대 조선통감을 지낸 인사였고, 저격자는 안중근이었습니다. 지난 10월 18일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 갔었습니다. 역사를 방문해 '불멸의 영.. 창(窓)/게시판 2009.10.23
21.38㎞ '바다 위 하늘길' 인천에서 전국으로 세계로 [인천의 비상] 21.38㎞ '바다 위 하늘길' 인천에서 전국으로 세계로 인천=최재용 기자 jychoi@chosun.com 인천대교 19일 개통 인천공항~송도 15분 주파 경인·서해안고속도로 등 전국으로 교통망 연결 한국의 관광명소 될 것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다리, 세계에서는 전체 길이로는 7번째, 사장교(斜張橋)로는 5.. 창(窓)/게시판 2009.10.22
정상회담 건배주 막걸리 [만물상] 정상회담 건배주 막걸리 오태진 수석논설위원 tjoh@chosun.com 1950~60년대 서울 명동 막걸리집 은성은 전후(戰後) 배고픈 예술인들의 사랑방이었다. 여주인은 술값은 주는 대로 받고 외상값을 따지지 않았다. 이 집 아들 최불암이 나중에 어머니 유품을 정리하다 라면상자 가득한 외상장부를 발견.. 창(窓)/게시판 2009.10.12
모국어 [만물상] 모국어 김태익 논설위원 tikim@chosun.com 이지마 고이치라는 일본 시인이 쓴 시 '모국어'에 이런 구절이 있다. '모국어(母國語)라는 낱말 속에는/ 엄마와 나라와 언어가 있다.' 이 '엄마'와 '나라'와 '언어'로부터 떨어져 외국에 살고 있을 때 그는 시를 쓸 수 없었다고 했다. 체코 출신 소설가 밀란 .. 창(窓)/게시판 2009.10.11
한글날을 맞아 고유어를 그리며 [외국어에 중독된 한국-11] 한글날을 맞아 고유어를 그리며 곽홍렬(수필가) ▲ 도심 길거리 넘쳐나는 국적불명 간판들 조선닷컴은 지난달 10회에 걸친 ‘외국어에 중독된 한국’ 연재를 통해 우리 사회의 외국어 오남용 실태를 파헤쳤다. 한글날이 있는 10월에는 그 해독(解毒)을 위한 각계각층의 전문가.. 창(窓)/게시판 2009.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