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99번째 생일에 돌아보는 北의 3대 세습 [기고/문순보] 김일성 99번째 생일에 돌아보는 北의 3대 세습 15일은 김일성의 생일(태양절)이다. 1912년생이니까 올해는 그의 아흔아홉 번째 생일이다. 죽은 지 17년이 다 돼가지만 북한에서는 여전히 김일성을 불멸의 영웅으로 추앙한다. 그 까닭은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김씨 왕조의 시황(始皇).. 창(窓)/이런일 저런일 2011.04.15
그래도 개혁은 계속돼야 한다 [오늘과 내일/허승호] 그래도 개혁은 계속돼야 한다 “수업이 끝났다. 한 친구가 툭 던지듯 말했다. ‘뉴스 봤니?’ ‘응.’ 그러고는 대화가 끊어졌다. 나는 강의실을 빠져나와 기숙사로 향했다. 벌써 네 번째다. 1월, 중학교 때부터 알고 지내던 친구가 자살했다. 공부에 집중할 수 없었다. 마음을 잡.. 창(窓)/게시판 2011.04.14
市長에 수갑 채운 美공권력의 권위 [시론/조지형] 市長에 수갑 채운 美공권력의 권위 전화를 받자마자 선배 교수가 대뜸 묻는다. “현빈 좋아해?” 두서없는 질문에 꼬리를 흐리면서 “글쎄요”라고 대답했다. 그러고는 왜 그런 질문을 하는지 물었다. “아니, 네 휴대전화 컬러링이 현빈의 노래여서!” 맞다. 내 휴대전화의 두 개의 컬.. 창(窓)/이런일 저런일 2011.04.14
‘여성부장 시대’ 이제 시작이다 [시론/박형철] ‘여성부장 시대’ 이제 시작이다 최근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앞 다투어 강화하는 최고경영자 업적 평가 기준의 하나는 ‘조직 내 다양성(Diversity)을 얼마나 향상시켰는가’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주로 인종, 국적, 그리고 성별 등 세 가지 차원에서 다양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 창(窓)/게시판 2011.04.13
KAIST 학생들의 자살사태를 보며 [강신주의 철학으로 세상읽기]<21> KAIST 학생들의 자살사태를 보며 과학영재들이 거목으로 자랄 기회, 스스로 꺾고 있는 건 아닌지…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1994년 혹은 1995년의 일로 기억난다. 마침내 선생님이 되는 데 성공한 친구는 무척 흥분되어 있었다. 하긴 자신의 학창시.. 창(窓)/이런일 저런일 2011.04.13
카네이션, 재스민, 그리고 북한의 민주화(110412) [동아광장/임혁백] 카네이션, 재스민, 그리고 북한의 민주화 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T S 엘리엇이 노래하지 않았더라도 4월은 독재자들에겐 잔인한 달임에 틀림없다. 1974년 4월 25일 포르투갈 시민들은 앙골라 식민전쟁에서 회군하여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청년장교들의 총구에 감사의 표시로.. 창(窓)/게시판 2011.04.12
한국의 ‘좋은 친구’ 印度 [오늘과 내일/권순활] 한국의 ‘좋은 친구’ 印度 인도는 지난해 독일을 제치고 한국의 다섯 번째 수출시장으로 떠올랐다. 우리나라의 대(對)인도 수출액은 114억 달러로 전년보다 43% 늘었다. 작년 1월 발효한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에 따른 관세 인하 효과와, 현지 진출 한국 기업에 대한 부품 수.. 창(窓)/이런일 저런일 2011.04.12
학원 보내줬으니 공부는 네 책임? [광화문에서/홍성철] 학원 보내줬으니 공부는 네 책임? 사교육 시장에도 20 대 80의 법칙이 있다고 한다. 학원생 가운데 20%는 자신을 위해 학원에 다니고 나머지 80%는 학원을 위해 다닌다는 얘기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현재 학원 관련 사업에 종사하는 지인의 증언이다. 대한민국 사교육의 엄연한 현실.. 창(窓)/게시판 2011.04.11
소록도行 반대했던 암투병 어머니, 나중엔 “환자를 엄마처럼 대하라” [김창혁 전문기자의 세상이야기] 국립소록도병원 본관 리모델링 감회 17년째 외길 ‘오동찬’ 의료부장 기사입력 2011-04-11 03:00:00 기사수정 2011-04-11 03:50:05 소록도行 반대했던 암투병 어머니, 나중엔 “환자를 엄마처럼 대하라” 오동찬 의료부장은 매일 소록도 공원 안의 예수상 앞에서 기도를 한다. .. 창(窓)/이런일 저런일 2011.04.11
축산농 위기가 선진화 기회다 [시론/장원경] 축산농 위기가 선진화 기회다 기사입력 2011-04-09 03:00:00 기사수정 2011-04-09 03:53:28 장원경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장2009년 이충렬 감독의 다큐멘터리 ‘워낭소리’가 개봉돼 200만 명의 관객을 울렸다. 영화의 주인공은 평생 땅을 지키며 살아온 최 노인과 그와 함께 다니는 소. 이 영화.. 창(窓)/게시판 2011.04.10